파트너스 활동으로 소정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2024. 8. 6.

    by. 머니도리


    주식시장이 급변할 때, 투자자들은 혼란과 공포에 휩싸이기 쉽습니다.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 도입된 제도가 바로 '서킷 브레이커''사이드카'입니다. 이 글에서는 우선 주식시장의 안전장치인 서킷 브레이커의 개념, 발동 조건, 그리고 실제 사례까지 자세히 설명해 드릴 텐데요. 주식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이 중요한 정보를 통해 시장의 변동성에 현명하게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서킷-브레이커의-뜻과-발동-조건-및-역대-사례-자세히-알아보기

       

      서킷 브레이커란?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는 주식 시장에서 지수의 급격한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제도입니다.

       

      전기회로의 과부하를 막기 위해 차단기가 작동하는 것처럼, 주식 시장에서 급격한 변동으로 인한 혼란을 막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서킷 브레이커는 지수 하락뿐만 아니라 이론적으로는 급격한 상승 시에도 발동할 수 있지만, 주로 하락 시에만 발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서킷 브레이커 종류와 발동 조건 및 단계별 조치

      한국 주식 시장에서 서킷 브레이커는 현물과 선물 시장 서킷 브레이커가 있는데, 두 가지는 발동 조건과 조치에서 서로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서킷 브레이커 발동에 당황하는 모습

       

      🔽 현물 시장 서킷 브레이커

      현물 시장 서킷 브레이커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 단계별로 발동되는데, 발동되는 순간 현물 시장뿐만 아니라 선물과 옵션 시장까지 모든 거래가 정지됩니다. 

       

      1단계 발동: 코스피나 코스닥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8%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되면 발동됩니다. 이 경우, 20분간 거래가 중단되며 이후 10분간 동시호가로 주문을 접수한 뒤 거래가 재개됩니다.

       

      2단계 발동: 1단계 발동 후 코스피나 코스닥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15% 이상 하락하고 1단계 발동 지수보다 1% 이상 추가 하락하여 1분간 지속될 경우 발동됩니다. 이 경우, 1단계와 마찬가지로 20분간 추가로 거래 중단되며 이후 10분간 동시호가로 주문을 접수한 뒤 거래가 재개됩니다.

       

      1·2단계 발동 시 매매거래 중단 시간 동안에는 신규 호가의 제출이 불가능하지만, 매매거래 중단 전 접수된 호가에 대해 취소 주문을 제출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각 단계별 발동은 하루에 한 번으로 제한되며, 당일 종가 결정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장 종료 40분 전 이후에는 중단되지 않습니다.

       

      3단계 발동: 2단계 발동 후 코스피나 코스닥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20% 이상 하락하고 2단계 발동 지수보다 1% 이상 추가 하락하여 1분간 지속될 경우 3단계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며, 당일 주식 시장의 매매 거래가 조기 종료됩니다.

       

      20% 기준에 의한 당일 매매거래중단이 발동된 3단계의 경우 취소 호가를 포함한 모든 호가 접수가 불가능합니다. 또한 3단계 매매거래중단은 장 마감 40분 전 이후에도 발동이 가능합니다. 

       

      서킷 브레이크 발동할 당시 코스피와 코스닥 일봉 차트

       

      🔽  선물 시장의 서킷 브레이커

      선물 시장에서의 서킷 브레이커는 주로 선물과 옵션에만 해당되며 발동 시 선물과 옵션 거래만 중단될 뿐, 현물시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또한 선물 시장의 서킷 브레이커는 현물 시장의 서킷 브레이커와 달리 하루에 한 번만 발동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장 시작 5분 이후부터 장 마감 40분 전까지 발동 가능한데,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발동됩니다.

       

       발동 조건: 선물 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등락하거나, 괴리율이 상하 3%인 상태가  1분간 지속되는 경우 선물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됩니다.

       

       중단 시간: 발동되면 선물과 옵션 시장의 거래가 5분간 중단되며, 10분간 호가를 접수해 단일가격으로 치리 합니다. 

       

       예외:  선물 시장의 서킷 브레이커가 하루에 한 번만 발동 가능하다고 해서 선물과 옵션의 서킷 브레이커가 모두 1일 1회로 제한되는 것은 아닙니다. 즉, 현물 시장의 서킷 브레이커는 현물 거래뿐만 아니라 선물과 옵션 거래도 정지시키기 때문에 선물과 옵션에 대한 서킷 브레이커는 1일 1회의 제한에서 예외로 합니다.

       

      서킷 브레이커의 역사와 주요 사례

      서킷 브레이커 제도는 1987년 블랙 먼데이 사태를 계기로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최초로 도입되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1998년 외환위기 이후 도입되어 현재까지 중요한 시장 안정 장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주로 글로벌 경제 위기나 특정 지역의 경제 불안정, 급격한 금리 변동 등의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국내 주식 시장에서의 서킷 브레이커 발동 사례

      2024년 8월 기준으로 국내에서는 현물 시장에서 13회, 선물 시장에서 1회의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었습니다. 현물 시장에서는 코스닥에서 10번, 유가 증권(코스피) 시장에서 6번 발동되었는데, 이 중 3번은 양 시장에서 동시에 발동되었기 때문에 회수로는 총 13차례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양 시장에서 발동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코스닥 시장

      2006년 1월 23일: 미국 증시 약화 및 테마주 급락, 서킷 브레이커 첫 발동

      2007년 8월 16일: 서브프라임 위기 확산

      2008년 10월 23일: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2008년 10월 24일: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2011년 8월 8일: 미국 신용등급 하락

      2011년 8월 9일: 미국 신용등급 하락

      2016년 2월 12일: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확대

      2020년 3월 13일: 코로나19 팬데믹

      2020년 3월 19일: 코로나19 팬데믹

      2024년 8월 5일: 미국 증시 하락, 중동 전쟁 위기

       

      🔽  유가증권 시장

      2000년 4월 17일: 미국 증시 하락, 서킷 브레이커 첫 발동

      2000년 9월 18일: 미국 증시 하락, 유가 급등

      2001년 9월 12일: 9.11 테러

      2020년 3월 13일: 코로나19 팬데믹

      2020년 3월 19일: 미국 증시 하락 및 코로나19 영향

      2024년 8월 5일: 미국 증시 하락, 중동 전쟁 위기

       

      🔽  선물 시장

      선물 시장에서 단 한번 발동되었던 서킷 브레이커는 워낙 거래가 없었던 코스닥 스타선물에서 어쩌다가 거래가 발생했을 때 시스템상 발동되었던 것이라 시장에 큰 영향은 없었다고 합니다.  

       

      서킷 브레이커 관련 이미지

       

      서킷 브레이커와 사이드카

      서킷 브레이커와 유사한 제도로 사이드카(Sidecar)가 있습니다. 사이드카는 주가지수 선물이 급격히 변동할 때 현물시장의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제도입니다. 서킷 브레이커가 현물 시장의 전체 거래를 중단시키는 것과 달리, 사이드카는 선물 시장의 변동성을 억제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사이드카의-모든-것-자세히-알아보기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면 현물은 물론 선물 및 옵션 시장까지 모두 정지되지만, 사이드카는 선물과 옵션 시장만 정지됩니다. 서킷 브레이크와 사이드카의 자세한 차이점은 아래의 버튼에 안내되고 있는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서킷-브레이커와-사이드카의-차이점

      결론

      서킷 브레이커는 주식 시장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한 혼란을 방지하고, 투자자들에게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 중요한 제도입니다. 한국 주식 시장에서도 여러 차례 발동된 바 있으며, 각 발동 사례마다 다양한 경제적, 정치적 요인들이 작용하였습니다.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는 날은 주식 시장의 극단적인 상황을 반영하는 날로, 투자자들에게는 큰 주의가 요구됩니다. 이 글을 통해 서킷 브레이커의 정의, 발동 조건, 조치 사항, 그리고 한국 주식 시장에서의 주요 발동 사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서킷 브레이커 발동으로 고통스러워 하는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