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연금 조기수령
나이 소득 조건 및 수령 금액
지급정지 사유 및 지급연기 알아보고
신청 서류 준비하기국민연금 (또는 노령연금, 이하 국민연금) 조기수령을 위한 나이와 소득 조건, 조기수령 과정에서 지급이 정지될 수 있는 사유, 그리고 필요시 지급을 연기를 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알아보고, 조기수령을 신청할 분들을 위해 신청 서류까지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을 고민하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
이미지 출처 / 국민연금 관리공단
국민연금은 현행법상 만 65세 이후부터 수령할 수 있지만, 일정한 조건만 되면 만 60세부터 5년을 앞당겨 일찍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이를 국민연금 조기수령이라고 합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에 관해 많이 궁금하실 텐데요 굵직한 것들 위주로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조기수령 나이
국민연금 조기수령이 가능한 나이는 원래 수급 나이인 65세 보다 최대 5년이 빠른 60세부터입니다. 각 출생 연도별로 국민연금을 조기에 신청해 지급받을 수 있는 나이를 아래와 같이 표로 정리해 봤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 나이 표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국민연금 조기수령이 가능한 나이는 56세에서 60세에 해당하는 분들입니다. 그럼 이제부터 국민연금 조기수령을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조건들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조기수령 필수 조건
국민연금 조기수령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몇 가지 필수조건을 만족해야 하는데, 그중 첫째가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 되어야 하는 것이고, 둘째가 조기 수령 연령이 충족되어야 하는 것, 그리고 셋째가 가족 권유가 아닌 본인의 자발적인 의지여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네 번째가 바로 지금부터 안내해 드릴 소득에 관한 조건입니다.
조기수령 소득 조건
국민연금 또는 노령연금 조기수령을 위한 조건들 중 가장 중요한 또 하나가 현재 "소득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아야만" 합니다.
그렇다고 소득이 아예 없어야 되는 것은 아닙니다. 여기서 "소득 있는 업무"라고 하는 정의는 2024년을 기준으로 했을 때 월평균소득금액이 전체 평균인 2,989,273원을 초과하는 경우입니다. (2023년까지는 2,861,091원이었음)
따라서 "소득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것"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기타 소득 등 근로자, 사업자 구분 없이 3년간 모든 소득이 전체 평균 이하이면 됩니다.
현재 국민연금 조기수령을 받고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본인의 정상적인 연금지급 개시연령에 도달하기 이전에 전체 평균을 초과하는 소득이 발생된다면 지금 "소득 있는 업무에 종사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연금 지급이 일시적으로 중지될 수 있으니 이점 각별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소득 있는 업무에 대한 산정은 전년도 연말을 기준을 기준으로 한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조기수령 금액
국민연금 조기수령 금액은 지급받는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이것을, 국민연금 조기수령 연령별 차감율에 따른 지급 금액이라고도 하는데, 정상적으로 받아야 될 시기보다 앞당겨 받게 될 경우 약간의 페널티가 적용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조기수령 차감율이라는 것은 정상적인 개시 연령보다 얼마나 일찍 연금을 받고자 하느냐에 따라 감액되는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1964년생이라고 한다면 조기수령을 청구하는 연령에 따라서 적용되는 차감율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 지급율 예시 국민연금은 원래 「노령연금액(부양가족연금액 제외) × 연령에 따른 지급률 + 부양가족연금액」으로 수령받게 됩니다. 그러나 조기수령을 신청할 경우에는 원하는 개시 연령에 따라 1년당 6% (1개월당 0.5%)의 비율로 감액되어 지급됩니다. 즉, 조기수령을 5년 일찍 할 경우에는 총 30%가 감액된 금액을 평생 동안 지급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원래 65세에 월 150만 원의 연금을 받는다고 가정할 때, 5년을 미리 당겨 받으면 60세부터 매월 45만 원이 감액된 105만 원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출처/국민연금온에어 혹시라도 국민연금 조기수령을 고민하고 계시다면 아래의 국민연금 관리공단에 방문해 내가 받을 연금을 미리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러고 나면 위에서 말씀드렸던 조기수령 차감율을 적용해 신청 시기에 따라 내가 받을 수 있는 조기수령 금액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신청 방법 및 서류
국민연금 조기수령 신청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가능한데, 온라인의 경우 「① 국민연금 홈페이지에 접속 ② 홈페이지 상단의 전자민원에서 개인민원을 선택 ③ 공인인증서 로그인 ④ 연금수령 신청서를 작성하고 제출」하면 국민연금 관리공단에서는 신청내역을 확인하고 승인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오프라인으로 신청하신다면 전국에 있는 국민연금 관리공단 지사에 직접 방문하거나, 신청 서류를 우편 또는 팩스(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209 국민연금공단 본관, Fax) 02-2176-9000)로 보내면 되는데, 이때에는 신분증 사본과 은행계좌 사본도 같이 첨부해야 하니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노령연금 지급 청구서.hwpx0.07MB노령연금 지급 청구서.docx0.02MB신청서는 지사에 방문해서 받을 수도 있지만, 이 신청서 양식을 미리 다운로드하여 작성해 가시면 빠르게 신청하실 수 있으니 조기수령을 신청하실 분들이라면 지금 무료로 다운로드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으로, 국민연금을 조기수령하는 도중에 갑작스럽게 지급이 정지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따라서 국민연금 조기수령이 지급정지가 되는 사유들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급정지 사유
국민연금 조기수령이 지급정지 되는 사유는 두 가지입니다. 그중 하나는 앞서 언급했듯이, 정상 지급개시연령 도달 전에 소득 있는 업무(소득이 2,989,273원 초과)로 인해 강제로 정지되는 경우이고, 나머지 하나는 소득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더라도 본인의 자발적인 신청이 있을 경우입니다.
어떤 사유든 일단 지급정지가 되면 국민연금 재가입 대상이 되기 때문에 보험료를 다시 납부해야 할 수도 있고, 이후에 늘어난 가입기간만큼을 합산해 재산정된 연금액을 지급받을 수 있으니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급정지 신청서류
혹시나 강제 지급정지가 아니라 자발적으로 조기수령 지급정지를 원하신다면 아래에 있는 서류를 다운로드하여 공단에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별지 제20호의2서식] 조기노령연금(지급 정지¸ 재지급) 신청서.pdf0.08MB조기노령연금 지급정지, 재지급 신청서.docx0.03MB지급연기 방법 및 서류
또한, 국민연금은 조기수령 외에도 수령을 연기할 수도 있습니다. 즉, 연금개시연령이 되었음에도 금액의 전액 또는 일부를 나중에 수령하겠다는 것입니다. 연금개시연령 도달일로부터 연금개시일을 연기하는 기간에 따라 최대 5년 동안 연금액의 일부 또는 전액을 지급 연기할 수 있습니다.
지급연기를 원하는 금액 비율을 50% ~ 100%까지 10% 단위로 수급자가 선택할 수 있고, 이후 연금을 받게 되면 연기 기간 1년마다 원래 연금액의 연 7.2%(월 0.6%)가 가산된 금액을 지급받게 됩니다.
또한 지급연기 기간이 끝나고 연금이 개시된 이후에 또 지급연기를 하고 싶다면 재신청(2022년 6월 이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재신청도 마찬가지로 최대 5년까지 연기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만일, 지급연기 신청을 원하신다면 아래의 신청서 양식을 다운로드하여 공단에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노령연금(지급연기¸ 재지급)신청서.hwpx0.07MB맺음말
지금까지 국민연금 조기수령에 관해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대표적인 내용들을 알아봤습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은 양날의 칼과도 같습니다.
당장에 부족한 생활비를 마련할 수 있고, 금액이 적어도 장기간 받을 수 있다는 점과, 투자 및 재테크를 통한 추가 소득으로 지금의 재무 상황을 개선할 수 있다 점, 그리고 국민연금 고갈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한 정서들이 겹쳐 많은 사람들이 국민연금 조기수령을 고민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조기수령을 할 경우 수령금액이 정상보다 많이 차감되고, 한번 결정된 금액으로 평생 동안 지급받아야 하기 때문에, 조기수령으로 인한 장점만을 고려하기에는 다소 리스크가 많다는 점을 고려해 신중하게 결정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아래에 내가 받을 수 있는 국민연금을 조금이라도 더 받을 수 있는 방법들도 나름대로 정리해 봤으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에 같이 읽으면 도움 되는 다양한 정보도 있으니 시간 되시면 둘러보시기 바랍니다!!
실업급여의 모든 것
2024 실업급여 하한액, 자격조건 및 변경내용 궁금증 총정리 - Blog to strike a bonanza
이 글에서는 새롭게 변경된 실업급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11월부터 변경될 내용의 가장 핵심은 실업급여 하한액에 대한 하향조정입니다. 이와 더불어 수급 조건의 주요 변경사항과
haedory.com
피부양자 자격상실 요건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상실 요건, 예상되는 건강보험료 폭탄
우리나라의 건강보험 제도는 세계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나이 든 어르신들에게 건강보험은 중요한 복지 제도로 자리 잡았는데요. 하지만 최근 건
sundory1.tistory.com
기초연금 수급자격 지원액
2024 기초연금 수급자격 지원액 입금일 알아보고 신청하기 (ft. 모의계산)
2024 기초연금 수급자격 지원액 입금일 알아보고 신청하기 (ft. 모의계산) 기초연금에 대해 알아보고 계신가요? 만 65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관심을 가질텐데요. 이 글에서
sundory1.tistory.com
한국전력 구매 지원금 받기
한국전력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지원금 30만원 받기 (에어컨 냉장고외 지원가능 제품 확인)
여름 하면 떠오르는 대표가전인 에어컨! 하지만 전기요금 폭탄이라는 말과 함께 전기세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그런 분들을 위해 한국전력공사에서 시행 중인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sundory1.tistory.com
복지멤버십
복지멤버십, 정부지원금 맞춤형 서비스, 자동으로 복지 혜택 안내 받기
우리나라에서 시행하는 복지정책은 중앙부처에서 제공하는 복지서비스 외에도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경쟁적으로 마련한 여러 가지 제도들까지 합하면 족히 1만 가지가 훨씬 넘는데요. 이렇게나
sundory1.tistory.com
건강보험환급금
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및 신청 (feat. 본인부담금 상한제)
건강보험 환급금이란 보험료를 이중으로 납부했거나, 착호납부한 경우, 그리고 정상적으로 보험료가 부과·고지되었으나 자격의 변동이나 부과 자료의 조정으로 인해 발생한 금액입니다. 건강
sundory1.tistory.com
재난지원금
특별재난지역 재난지원금 및 정부지원서비스 신청 (ft. 풍수해보험, 소상공인 금융지원방안)
하늘에 구멍이라도 뚫린 듯 매일매일 지겹도록 내리는 비 때문에 곳곳에 피해가 말이 아닙니다. 무자비하게 퍼붓는 장마 비로 각 지역에서는 안타까운 인명 피해와 주택과 도로 등의 침수 피해
sundory1.tistory.com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24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하기 (13) 2024.10.07 두루누리 지원금 신청 및 국민연금 고용보험료 개인별 지원내역 조회방법 (ft. 신청서 다운로드) (10) 2024.09.05 국가장학금 유형별 자격조건, 신청절차, 신청방법 안내 (ft. 가구원동의 상세 절차, 신청 매뉴얼 제공) (0) 2024.08.17 한전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신청방법 전기요금 할인 받기 (0) 2024.07.21 한전 가전제품 구매 지원금 대상 제품 신청방법 빠르게 확인하기 (0) 2024.07.21